대한민국 제3대 국회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대한민국 제3대 국회는 1954년부터 1958년까지 운영된 대한민국의 국회이다. 이기붕이 민의원의장으로 선출되었고, 자유당이 다수당을 차지했다. 주요 활동으로는 사사오입 개헌, 민주당 창당 등이 있었으며, 상임위원회를 구성하여 활동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한민국 제3대 민의원 - 사사오입 개헌
사사오입 개헌은 1954년 자유당이 이승만 대통령의 장기 집권을 위해 헌법 개정안을 통과시키는 과정에서 사사오입의 억지 논리를 적용하여 정족수를 조작, 헌법 정신을 위배하고 이승만 독재 정권 연장의 오점으로 기록된 사건이다. - 대한민국 제3대 민의원 - 1955년 대한민국 민의원부의장 보궐선거
1955년 대한민국 민의원부의장 보궐선거는 4사5입 개헌 파동 후 야당 탄압이 심화된 가운데 곽상훈 부의장 불신임안 통과로 실시되었으며, 유진산이 당선되어 자유당의 권력 강화와 야당 분열을 심화시킨 민주주의 후퇴 사례로 평가받는다. - 대한민국 제1공화국 - 박헌영
박헌영은 일제강점기 사회주의 운동가이자 독립운동가, 정치인으로, 조선공산당 창당에 참여하고 해방 후 조선공산당 재건에 중추적인 역할을 담당했으나, 한국 전쟁 이후 김일성 정권에 의해 처형되어 그의 생애와 활동은 논란과 재평가의 대상이 되고 있다. - 대한민국 제1공화국 - 이승만
이승만은 대한민국의 초대 대통령이자 독립운동가로서, 대한민국 임시정부 초대 대통령을 역임하고 해방 후 초대 대통령으로 선출되었으나, 독재적 통치와 부정부패에 대한 비판도 받으며 4·19 혁명 후 하와이로 망명하여 서거하였다. - 대한민국의 선거에 관한 - 2014년 대한민국 재보궐선거
2014년 대한민국 재보궐선거는 7월 30일과 10월 29일에 국회의원 및 기초의원을 선출하기 위해 치러졌으며, 7월 선거에서는 새누리당이 과반 의석을 차지했고, 10월 선거는 새누리당의 승리로 끝나 야당이 분열되는 결과를 낳았다. - 대한민국의 선거에 관한 - 대한민국 제19대 국회의원 선거
대한민국 제19대 국회의원 선거는 2012년 4월 11일에 실시되었으며, 새누리당이 152석을 얻어 과반 의석을 확보했고, 야권연대, 선거구 조정, 투표율 54.3% 등의 특징을 보였다.
대한민국 제3대 국회 | |
---|---|
제3대 국회 | |
![]() | |
국가 | 대한민국 |
종류 | 국회 |
임기 | 1954년 5월 31일 ~ 1958년 5월 30일 |
선거 | 1954년 5월 20일 |
의석수 | 203석 |
구성 | |
의장 | 이기붕 (자유당) |
부의장 | 조봉암 (무소속) 최순주 (자유당) |
사무총장 | 장경순 |
원내 분포 | |
![]() | |
자유당 | 114석 |
민주국민당 | 15석 |
대한국민회 | 11석 |
무소속 | 63석 |
이전/다음 | |
이전 | 제2대 국회 |
다음 | 제4대 국회 |
2. 구성
대한민국 제3대 국회는 1954년 5월 20일에 실시된 총선거를 통해 구성되었다.
정당별 의석 분포는 자유당이 다수를 차지했으며, 민주당 등이 그 뒤를 이었다. 자세한 의석 분포는 다음과 같다.
교섭단체명 | 정당명 | 1954년 총선 당시 | 1958년 총선 당시 |
---|---|---|---|
자유당 | 자유당 | 114석 | 131석 |
민주당 | 민주당 | 46석 | |
무소속동지회 | 무소속 | 31석 | 해산 |
비교섭단체 | |||
민주국민당 | 15석 | 민주당에 흡수통합 | |
대한독립촉성국민회 | 3석 | ||
대한국민당 | 3석 | 자유당에 흡수통합 | |
통일당 | 1석 | ||
무소속 | 36석 | 24석 | |
계 | 203석 | 202석 |
상임위원회는 국회운영, 법제사법, 재정경제, 외무, 국방, 내무, 문교, 교통체신, 농림, 상공, 사회보건, 예산결산, 징계자격, 부흥위원회 등으로 구성되었다. 각 상임위원회의 위원장 명단은 아래 표와 같다.
연도 | 위원회 | 위원장 | 소속 정당 |
---|---|---|---|
1954년 | 국회운영위원회 | 박영출 | 자유당 |
법제사법위원회 | 윤만식 | 자유당 | |
재정경제위원회 | 박만원 | 자유당 | |
외무위원회 | 황성수 | 자유당 | |
국방위원회 | 유지원 | 자유당 | |
내무위원회 | 조경규 | 자유당 | |
문교위원회 | 김법린 | 자유당 | |
교통체신위원회 | 남송학 | 자유당 | |
농림위원회 | 홍창섭 | 자유당 | |
상공위원회 | 윤성순 | 자유당 | |
사회보건위원회 | 정준모 | 자유당 | |
예산결산위원회 | 이충환 | 자유당 | |
징계자격위원회 | 김익노 | 자유당 | |
1955년 | 국회운영위원회 | 조순 | 자유당 |
법제사법위원회 | 윤만식 | 자유당 | |
재정경제위원회 | 인태식 | 자유당 | |
외무위원회 | 정기원 | 자유당 | |
국방위원회 | 유지원 | 자유당 | |
내무위원회 | 한희석 | 자유당 | |
문교위원회 | 김법린 | 자유당 | |
교통체신위원회 | 남송학 | 자유당 | |
농림위원회 | 홍창섭 | 자유당 | |
상공위원회 | 이갑식 | 자유당 | |
사회보건위원회 | 김익기 | 자유당 | |
예산결산위원회 | 이충환 | 자유당 | |
징계자격위원회 | 김익노 | 자유당 | |
부흥위원회 | 곽의영 | 자유당 | |
1956년 | 국회운영위원회 | 조순 | 자유당 |
법제사법위원회 | 박세경 | 자유당 | |
재정경제위원회 | 박만원 | 자유당 | |
외무위원회 | 박영출 | 자유당 | |
국방위원회 | 안동준 | 자유당 | |
내무위원회 | 한희석 | 자유당 | |
문교위원회 | 김종규 | 자유당 | |
교통체신위원회 | 신의식 | 자유당 | |
농림위원회 | 조병문 | 자유당 | |
상공위원회 | 김진만 | 자유당 | |
사회보건위원회 | 김철인 | 자유당 | |
예산결산위원회 | 박용익 | 자유당 | |
징계자격위원회 | 김상도 | 자유당 | |
부흥위원회 | 구흥남 | 자유당 | |
1957년 | 국회운영위원회 | 김순호 | 자유당 |
법제사법위원회 | 박세경 | 자유당 | |
재정경제위원회 | 최용근 | 자유당 | |
외무위원회 | 강세영 | 자유당 | |
국방위원회 | 송우범 | 자유당 | |
내무위원회 | 하을춘 | 자유당 | |
문교위원회 | 이존화 | 자유당 | |
교통체신위원회 | 정명섭 | 자유당 | |
농림위원회 | 나희집 | 자유당 | |
상공위원회 | 이영언 | 자유당 | |
사회보건위원회 | 김익기 | 자유당 | |
예산결산위원회 | 김종신 | 자유당 | |
징계자격위원회 | 김상도 | 자유당 | |
부흥위원회 | 구흥남 | 자유당 |
의장 및 부의장 선출에 대해서는 하위 섹션에서 더 자세히 다룬다.
2. 1. 의장 및 부의장 선출
1954년 6월 9일부터 1956년 6월 8일까지 이기붕이 민의원의장을, 최순주와 곽상훈이 민의원부의장을 맡았다. 1956년 6월 9일부터 1958년 5월 30일까지는 이기붕이 다시 민의원의장을, 조경규와 황성수가 민의원부의장을 맡았다.
2. 2. 정당별 의석 분포
교섭단체명 | 정당명 | 1954년 총선 당시 | 1958년 총선 당시 |
---|---|---|---|
자유당 | 자유당 | 114석 | 131석 |
민주당 | 민주당 | 46석 | |
무소속동지회 | 무소속 | 31석 | 해산 |
비교섭단체 | |||
민주국민당 | 15석 | 민주당에 흡수통합 | |
대한독립촉성국민회 | 3석 | ||
대한국민당 | 3석 | 자유당에 흡수통합 | |
통일당 | 1석 | ||
무소속 | 36석 | 24석 | |
계 | 203석 | 202석 |
2. 3. 상임위원회 구성
위원회 | 이름 | 소속 정당 |
---|---|---|
국회운영위원회 | 박영출 | 자유당 |
법제사법위원회 | 윤만식 | 자유당 |
재정경제위원회 | 박만원 | 자유당 |
외무위원회 | 황성수 | 자유당 |
국방위원회 | 유지원 | 자유당 |
내무위원회 | 조경규 | 자유당 |
문교위원회 | 김법린 | 자유당 |
교통체신위원회 | 남송학 | 자유당 |
농림위원회 | 홍창섭 | 자유당 |
상공위원회 | 윤성순 | 자유당 |
사회보건위원회 | 정준모 | 자유당 |
예산결산위원회 | 이충환 | 자유당 |
징계자격위원회 | 김익노 | 자유당 |
위원회 | 이름 | 소속 정당 |
---|---|---|
국회운영위원회 | 조순 | 자유당 |
법제사법위원회 | 윤만식 | 자유당 |
재정경제위원회 | 인태식 | 자유당 |
외무위원회 | 정기원 | 자유당 |
국방위원회 | 유지원 | 자유당 |
내무위원회 | 한희석 | 자유당 |
문교위원회 | 김법린 | 자유당 |
교통체신위원회 | 남송학 | 자유당 |
농림위원회 | 홍창섭 | 자유당 |
상공위원회 | 이갑식 | 자유당 |
사회보건위원회 | 김익기 | 자유당 |
예산결산위원회 | 이충환 | 자유당 |
징계자격위원회 | 김익노 | 자유당 |
부흥위원회 | 곽의영 | 자유당 |
위원회 | 이름 | 소속 정당 |
---|---|---|
국회운영위원회 | 조순 | 자유당 |
법제사법위원회 | 박세경 | 자유당 |
재정경제위원회 | 박만원 | 자유당 |
외무위원회 | 박영출 | 자유당 |
국방위원회 | 안동준 | 자유당 |
내무위원회 | 한희석 | 자유당 |
문교위원회 | 김종규 | 자유당 |
교통체신위원회 | 신의식 | 자유당 |
농림위원회 | 조병문 | 자유당 |
상공위원회 | 김진만 | 자유당 |
사회보건위원회 | 김철인 | 자유당 |
예산결산위원회 | 박용익 | 자유당 |
징계자격위원회 | 김상도 | 자유당 |
부흥위원회 | 구흥남 | 자유당 |
위원회 | 이름 | 소속 정당 |
---|---|---|
국회운영위원회 | 김순호 | 자유당 |
법제사법위원회 | 박세경 | 자유당 |
재정경제위원회 | 최용근 | 자유당 |
외무위원회 | 강세영 | 자유당 |
국방위원회 | 송우범 | 자유당 |
내무위원회 | 하을춘 | 자유당 |
문교위원회 | 이존화 | 자유당 |
교통체신위원회 | 정명섭 | 자유당 |
농림위원회 | 나희집 | 자유당 |
상공위원회 | 이영언 | 자유당 |
사회보건위원회 | 김익기 | 자유당 |
예산결산위원회 | 김종신 | 자유당 |
징계자격위원회 | 김상도 | 자유당 |
부흥위원회 | 구흥남 | 자유당 |
제3대 국회에서는 1954년 6월 9일 이기붕이 민의원의장으로 선출되었고, 1954년 12월 6일 손권배가 자유당에서 탈당하여 무소속 의원이 되는 등 의석 변동이 있었다. 같은 해 12월 8일에는 민관식, 김재황, 김재곤, 한동석, 신정호, 이태용, 신태권, 성원경, 김홍식, 현석호, 황남팔, 김영삼 등 여러 의원들의 의석 변동이 있었다.
3. 주요 활동 및 사건
3. 1. 의석 변동
민주국민당 15석
대한독립촉성국민회 3석
대한국민당 3석
무소속 67석1954년 12월 6일 손권배 자유당 → 무소속 전북 완주군 을 탈당 ±1 자유당 138석
민주국민당 15석
대한독립촉성국민회 3석
대한국민당 3석
무소속 45석1954년 12월 8일 민관식 서울 동대문구 ±12 자유당 125석
민주국민당 15석
대한독립촉성국민회 3석
대한국민당 3석
무소속 57석김재황 서울 성동구 을 김재곤 경기 인천시 갑 한동석 경기 고양군 신정호 충북 청원군 갑 이태용 충북 제천군 신태권 충남 공주시 을 성원경 충남 예산군 김홍식 경북 고령군 현석호 경북 예천군 황남팔 경남 진양군 김영삼 경남 통영군 을